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목차

     

    기독교 성경사전적 해석으로 가로, 가룟 유다, 가루, 가르가스, 가르단, 가르치다에 대해서 사전적 풀이 입니다.

    성경 사전

    가로

    [ 街路 , street ] 특이사항: 개역개정에서 사라진 단어 / 큰 길. 거리. 원어상 ‘건물 밖’을 뜻한다. 개역개정판은 ‘길거리’(사 10:6).

    가룟 유다

    [ Judas Iscariot ] ‘가룟 사람 유다’란 뜻. 예수님을 배신한 제자 유다를 말한다. ‘유다’는 ‘(여호와를) 찬양하다’는 뜻이다. 예수의 제자 중 ‘다대오’라 불리는 유다(야고보의 아들, 마 10:3)와 구별하기 위해(요 14:22) ‘가룟 유다’라 칭하고 있다. 예수님의 제자로 부름받았고(마 10:1-2; 막 3:19; 눅 6:13), 회계 관리자(요 12:6; 13:29)로 재정 일을 맡아보았다. 그는 예수님의 지상 왕국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자 은 30에 예수님을 팔았다(마 27:3). 그러나 양심의 가책을 받아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(그러나 진실된 회개는 하지 않았다) 제사장으로부터 받은 은 30을 성소에 던진 뒤(마 27:3-5) 자살하였다(마 27:5; 행 1:18). 마태는 그가 목매어 죽었다고 하고(마 27:5), 누가는 그가 몸이 곤두박질하여 배가 터져 죽었다고 전한다(행 1:18). → ‘유다2’를 보라

    가룟 유다가룟 유다
    가룟 유다(안경을 두명이나 쓰고 있네요. 예수님이 계시던 시대에는 아무래도 안경은 없었을 것 같기는 합니다.)

    가루

    [ flour ] 잘게 부스러뜨리거나 갈아서 곱게 만든 것(meal, powder). 분말(粉末). 성경에서는 대부분 음식이나 제물에 사용하기 위해 곡식을 빻은 것(창 18:6; 레 2:1)을 말하나 때로는 ‘반죽한 덩어리’(렘 7:18), ‘티끌(먼지)’을 가리키기도 한다(왕하 23:6).

    가르가스

    [ Carkas ] ‘엄숙하다’는 뜻. 바사 왕 아하수에로를 섬기던 일곱 내시 중 한 사람이다(에 1:10).

    가르단

    [ Kartan ] ‘성읍’이란 뜻. 레위 지파의 게르손 자손에게 주어진 납달리 지역의 성읍(수 21:32). 갈릴리 북부 오론테스 강가의 ‘기랴다임’과 동일한 곳으로 본다(대상 6:76).

    가르단가르단
    가르단가르단
    가르단

    가르치다

    [ teach ] 지식(知識)이나 정보 혹은 기예(技藝) 등을 알게 하다. 옳고 그름을 알도록 깨우쳐 주다. 할 수 있도록 지도하다. 성경에서는 가르치는 행위와 과정에 대해 다양한 표현들을 사용하고 있다. 특히 성경에서 가르침의 최종 목표는 인간을 하나님의 뜻과 조화시키는 데 있고, 또 그 가르침의 근원은 하나님의 권위와 그분의 말씀이며, 그 목적하는 바는 영적인 순종을 통해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는 데 있다(신 4:5, 14, 31; 6:4-9; 딤후 3:14-17).

    이렇게 하나님의 거룩하신 말씀과 교훈을 가르치는 일은 영혼과 생명을 좌우하는 중차대한 일이기에 성경은 어릴 적부터(잠 22:6), 날마다(마 26:55), 항상(요 18:20), 집에 앉아 있을 때든지(신 11:19), 길을 갈 때든지(신 11:19), 누워 있을 때나 일어날 때(신 11:19)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가르치도록 권면하며 이 일은 주님 오실 때까지 지속되어야 할 것을 명령한다(딤전 4:13). 또한 가르치는 사명을 가진 자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며(스 7:10), 부지런하게(신 6:7), 권세 있고 담대하게(마 7:29; 행 28:31) 하되, 주의 말씀 중 어느 하나라도 놓치지 않아야 한다(마 5:18-19). → ‘교육’을 보라.

    원어이해
    히브리어 (하나크)는 ‘어떤 것을 입에 넣다’, ‘맛보다’는 뜻이다. 마치 어머니가 거친 음식물을 입에 넣고 부드럽게 만든 뒤 아이 입에 넣어줌으로써 먹는 훈련을 시키듯 자녀를 친근하고 소상히 훈련시키고 양육하는 행위를 말한다(잠 22:6). (라마드)는 ‘때리다’, ‘벌주다’는 뜻으로 교육에서 징계(단련)의 측면을 강조한 단어다. 반면 헬라어 (디다스코)는 주로 교사가 권위를 가지고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(마 4:23; 고전 4:17), (도그마티조)는 법(율법)을 가르치거나 훈령을 내리는 행위와 관련된다.
    반응형